본문 바로가기
Network

Internet(인터넷)은 무엇인가?

by 강동동 2022. 5. 12.

출처 : www.kaspersky.com

1-1. 인터넷, 그리고 IP주소

  Internet은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라는 개념을 가진, 컴퓨터들 간의 글로벌 네트워크입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최소 20억 이상의 인구가 인터넷을 사용 중이에요. IP주소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세상의 모든 컴퓨터는 인터넷 안에서 nnn.nnn.nnn.nnn 형식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데 이것을 IP(Internet Protocol) 주소라고 해요. 이것을 통해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서로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현재 IP주소의 표준은 IPv4이고 이는 32비트(bit)로 이루어져 있어 40억 개의 IP주소를 가질 수 있어요. 하지만 현재 인터넷에 접속하는 컴퓨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이는 고갈 위기에 처했고, 점차 IPv6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IPv6는 128비트로 이루어져 3.4x10^38개의 IP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지구 상의 모든 모래 알갱이에 IP주소를 할당해도 모자라지 않는다고 합니다.

 

  Internet-map이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조금 오래된 자료긴 하지만 인터넷의 개념이나 크기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알기 좋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google.co.kr 을 검색해보고 줌인 줌아웃을 해보세요. 주변에 익숙한 도메인 이름들이 보이시나요? 그리고 얼마나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가 큰지 감이 오시나요?

 

  인터넷은 탈중앙화 형태의 네트워크라는 것이 핵심이에요. 한 개의 기관이나 한 명의 개인이 운영하는 것이 아닌, 수많은 회사, 대학, 정부, 개인이 각자의 네트워크를 소유하고 상호 간 규약에 따라 데이터 트래픽을 주고받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각 네트워크들은 보통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요. 그 사업자들 또한 자신들만의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그 사업자들간에 네트워크가 또 형성되어있는 구조입니다. 우리나라에는 SKT, LG U+, KT 등의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가 있습니다.

 

  컴퓨터는 보통 이렇게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인터넷에 연결되며 접속 세션동안 임시적인 IP주소를 할당받습니다. 만약 컴퓨터가 LAN(Local Area Network)에 연결되어 있다면 영구적인 IP를 갖고 있거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로부터 임시 IP를 받게 됩니다. 어찌 됐든 그 IP는 유일무이한 주소가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웹(Web)과 인터넷의 개념을 혼동하는데, 웹은 인터넷은 일부일 뿐 그 외에도 이메일, 토렌트 등도 인터넷에 포함됩니다.

 

1-2. 인터넷의 역사

출처 : i-programmer.info

  현재 Internet의 개념은 1960년대의 ARPANET(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NETwork)에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미 국방부에서는 핵 공격에도 네트워크가 다운되지 않을, 중앙제어 형식의 네트워크가 아닌 탈중앙화 된 네트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많은 투자를 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Bob KahnVint Cerf라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리드를 하게 되었는데 이들은 후에 인터넷의 아버지라고 불리게 되죠. 위에서 말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network of networks)라는 인터넷을 한 마디로 나타낼 수 있는 말도 Vint Cerf가 한 말이에요.

 

  이 프로젝트는 1969년에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고, 1973년 두 엔지니어의 리드로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냈는데 그것이 현재 유명한 TCP/IP입니다. 이 표준은 이후 1983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1980년대에 들어, 투자가 군사쪽에서 민간 쪽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미국 국립 과학 재단(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이 투자를 이어 받아 하게 되었는데 이 NSF는 그중 장거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백본(backbone)을 개발하는 데에 10년 이상의 투자를 했어요(1981-1994).

 

  1994년, 미 클린턴 정부는 이 백본에 대한 제어권 자체도 정부에서 민간으로 넘겼고, 그 이후로 민간이 인터넷의 백본을 운용하고 투자하며 글로벌화, 상업화되기 시작해 현재의 인터넷의 모습이 되었습니다.

 

 

1-3. 인터넷은 누가 운영하고 관리하는가?

  인터넷은 위에서 이야기 했듯이 탈중앙화가 핵심이고, 특정 기관이나 정부 등 하나의 주체가 관리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인터넷이라는 세상에서는 공통된 규약이 존재하고 그 규약은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라는 공개적인 조직(open organization)에서 정의합니다. IETF에선 인터넷의 운영, 관리, 개발에 대해 협의하고 프로토콜과 구조적인 사안들을 분석합니다. 누구든지 IETF의 회의에 참석할 수 있고,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거나 변경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어요.

 

  또한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라는 조직에서는 도메인 이름과 IP주소에 대해 관리합니다.

 

 

1-4. WWW(World Wide Web)

  웹(Web)이란 현재 인터넷 상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가장 유명한 방법입니다. 1991년에 Timothy Berners-Lee라는 프로그래머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당시 다른 인터넷 애플리케이션보다 하이퍼링크 지원 등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에 강점을 가졌습니다. 이후로 이미지, 비디오, 반응형 콘텐츠를 지원하며 더욱 성장했죠.

 

  1990년대 중반, 야후와 아마존이 웹에 기반한 비즈니스를 시작했어요. 이를 통해 상업적으로도 웹이 발달하게 되며 1994년에는 Berners-Lee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을 창설, 현재까지도 이 기구는 웹의 공식적인 표준을 위한 기구로 활약해오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Microsoft, Google, Apple, Mozilla 등 웹 브라우저를 만들어 이끌고 있는 기업들이 웹에서 중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5.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웹 브라우저(Web browser)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보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입니다. 데스크톱은 물론 태블릿, 스마트폰에서도 현재 사용되고 있어요.

 

  최초로 널리 사용된 웹브라우저는 일리노이 대학의 연구자들이 만든 Mosaic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들은 이후 캘리포니아로 이주해 Netscape를 창설해 1994년에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웹브라우저를 만들어냈죠. 이후 Microsoft의 Internet Explore의 등장으로 그 인기는 줄어들었으나, Netscape사의 오픈소스 버전인 Firefox가 등장했습니다.

 

  애플은 2003년에 Safari 브라우저를, 구글은 2008년에 Chrome 브라우저를 출시했어요.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스팅(Hosting)이란?  (0) 2022.09.21
브라우저의 동작 원리  (1) 2022.09.16
HTTP란 무엇인가?  (2) 2022.06.25
DNS란 무엇이고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가  (0) 2022.06.22
Internet(인터넷)의 동작 원리  (0) 2022.06.16